Ones upon a time in LA
 2014년 부터 Radio Korea에 연재하던 글들을 모았습니다


 

전설의 책 '이기적 유전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萬頭권두안 작성일 24-12-08 10:24 조회 1,925회 댓글 0건

본문

1281239765_snyecaXf_1-4.jpg
1281239765_ejaydK4o_1-5.jpg
1281239765_ZOfta3qG_1-6.jpg
1281239765_1uHOv726_1-7.jpg

'이기적  유전자' -리차드 도킨스-

"이 책을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다 읽어본 사람은 없다."라는 전설의 책을  오늘 드디어 난 깼다."

하지만, 

리차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다 읽어도 이해를 잘 못하겠다고, 쳇GPT에게 집단적선택과 개인적선택에 대한 설명을 부탁했다.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이기적 유전자"는 유전학과 진화 생물학에 관한 책으로, 생물학적 진화 및 유전자 전달에 대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한 책입니다. 이 책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 중에는 "집단적 선택"과 "개인적 선택"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집단적 선택(Group Selection):

집단적 선택은 개체의 집단이 진화적으로 유리한 특성을 공유하도록 작용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이 개념은 종 전반적으로 생존과 번식에 도움이 되는 특성이 유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협력과 사회적 행동이 진화적으로 발전했을 때, 집단 내 모든 개체에게 이점을 제공하고 종 전반적으로 적응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개인적 선택(Selfish Gene):

반면에, 개인적 선택은 도킨스가 강조하는 중심 개념입니다. 그는 생물의 진화를 "이기적인 유전자"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이 개념에 따르면, 유전자는 생물의 진화의 주요 주체이며, 생물 개체(동물, 식물 등)는 이러한 유전자를 통한 번식과 생존의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개체가 자신의 유전자를 최대한 번식시키려고 노력하고 다른 개체의 생존이나 번식에는 큰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개인적 선택은 이기적인 유전자의 생존과 번식을 장려하며, 종의 진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간주됩니다.

요약하면, 집단적 선택은 종 전반적으로 유리한 특성이 유지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것이며, 개인적 선택은 개체의 생존과 번식을 중심으로 유전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개념입니다. 이 두 가지 개념은 유전학과 진화 생물학에서 중요한 이론적 구조를 제공하며, 생물 진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User

집단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을 위하여 유전자가 공동의 이익에 대해 협력한다는 말은 무슨 의미인가?

"집단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을 위하여 유전자가 공동의 이익에 대해 협력한다"는 문장은 유전자 수준에서의 협력과 진화에 관한 개념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이 개념은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이론과 관련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도킨스는 유전자가 생물체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경쟁하고 협력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합니다. 여기서 "개인"은 생물체 자체를 나타내며, "집단"은 종 내의 모든 개체의 모임을 나타냅니다.

유전자는 협력이나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대신, 각 유전자는 자신의 존속과 번식을 위해 경쟁합니다. 그러나 종 내에서 개인 간의 협력이나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협력은 종 전반적으로 유리한 결과를 가져올 때에만 발생합니다.

즉, 한 유전자의 협력이 다른 유전자에게 도움이 되고, 그 결과로 모든 유전자에게 이익을 주면 이 협력이 진화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체가 함께 먹이를 찾는 행동을 할 때, 그들 모두가 더 많은 음식을 얻고 생존 기회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이익과 집단의 이익을 모두 증가시키며, 이러한 특성은 유전자를 통해 유전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유전자 수준에서의 "공동의 이익에 대한 협력"의 예입니다.

요약하면, 유전자는 개인적으로 경쟁하지만 종 내에서 협력적 특성이 진화적으로 발전하여 종 전반적으로 유리한 결과를 가져올 때 협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집단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을 결합하여 생물 진화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User
리치드 도킨스가 찰스 다윈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사실을 발견한 것은 무엇인가?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는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이 제시한 진화 이론을 기반으로 현대 생물학과 유전학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한 학자 중 하나입니다.

도킨스는 특히 "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라는 책을 통해 현대 진화 생물학의 중요한 개념과 아이디어를 제시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그가 제시한 중요한 아이디어 중 하나는 "이기적 유전자" 이론인데, 이것은 다윈의 원래 이론을 보완하는 개념입니다.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이론은 유전자가 진화 과정에서 중심 역할을 한다는 개념을 강조합니다. 그는 유전자가 종의 진화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개체나 종의 생존과 번식은 유전자를 통해 전달되는 유전 정보를 보존하려는 노력의 결과라고 주장합니다. 이로써, 다윈의 진화 이론을 보완하고 유전자 중심의 해석을 제시했습니다.

따라서, 리처드 도킨스가 찰스 다윈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은 유전자 중심의 진화 이론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해 생물 진화와 유전학의 이해를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dupost.png캘리포니아 공인 법무사 권두안,JD
(월~토/ 9:30 am ~ 6:00pm)
213-995-7080 / duankwon@gmail.com
833 S Western Ave #36. Los Angeles, CA 90005 



  • 한마당  10.17.2023 00:14:00  

    결국,성공한 유전자는 '비정한 이기주의'라는 것이다. 이타적인 행동도 결국 자신의 이익을 위한 행동이라는 것이 주요 골자다.
    할머니가 손주를 차갑고 무관심하게 대하지 않고  응석을 받아주도록 지령을 하는 유전적 요인은 진화 중에 우세하게 퍼질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다정한 할머니는  손주의 몸에 들어 있는 자신의  유전자 일부분의 생존과  증식을 이기적으로 촉진시키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 한마당  10.17.2023 00:21:00  

    다음에는 리차드 도킨스의 '눈 먼 시계공'이라는 전설을 읽고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마디어 게시판 목록

검색

전체 137 페이지 1/3

마디어 목록 -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를 안내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37 萬頭권두안 2067 12-08
136 萬頭권두안 2134 12-08
135 萬頭권두안 1921 12-08
134 萬頭권두안 5558 12-08
133 萬頭권두안 2076 12-08
132 萬頭권두안 1989 12-08
131 萬頭권두안 2535 12-08
130 萬頭권두안 2746 12-08
129 萬頭권두안 2577 12-08
128 萬頭권두안 1856 12-08
127 萬頭권두안 2383 12-08
126 萬頭권두안 2013 12-08
125 萬頭권두안 1966 12-08
124 萬頭권두안 2645 12-08
123 萬頭권두안 1971 12-08
122 萬頭권두안 1860 12-08
121 萬頭권두안 2017 12-08
120 萬頭권두안 1874 12-08
119 萬頭권두안 2573 12-08
118 萬頭권두안 1943 12-08
117 萬頭권두안 2008 12-08
116 萬頭권두안 1947 12-08
115 萬頭권두안 1958 12-08
114 萬頭권두안 2077 12-08
113 萬頭권두안 2012 12-08
112 萬頭권두안 1830 12-08
111 萬頭권두안 1959 12-08
110 萬頭권두안 2472 12-08
109 萬頭권두안 2457 12-08
108 萬頭권두안 1910 12-08
107 萬頭권두안 2598 12-08
106 萬頭권두안 1910 12-08
105 萬頭권두안 2490 12-08
104 萬頭권두안 1982 12-08
103 萬頭권두안 1738 12-08
102 萬頭권두안 1825 12-08
101 萬頭권두안 1923 12-08
100 萬頭권두안 1719 12-08
99 萬頭권두안 1965 12-08
98 萬頭권두안 1775 12-08
97 萬頭권두안 1829 12-08
96 萬頭권두안 1709 12-08
95 萬頭권두안 1898 12-08
94 萬頭권두안 1798 12-08
93 萬頭권두안 2649 12-08
92 萬頭권두안 1971 12-08
91 萬頭권두안 1816 12-08
90 萬頭권두안 2596 12-08
열람중 萬頭권두안 1928 12-08
88 萬頭권두안 2544 12-08
Copyright 2020-2024 © DUAN KWON j.d